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크보파크435

기아타이거즈 포수 트레이드 카드, 최고의 타깃이 김태군? 이지영? _ 박동원이 아니라면 포수 트레이드 할 필요가 없다? ( 장정석단장은 누굴 원하고 있을까? ) 기아타이거즈 포수 트레이드 카드, 최고의 타깃이 김태군? 이지영? _ 박동원이 아니라면 포수 트레이드 할 필요가 없다? ( 장정석단장은 누굴 원하고 있을까? ) 새로 부임한 기아타이거즈 장정석단장이 트레이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기아타이거즈와 관련된 트레이드썰에 항상 포수 이야기가 따라다니고 있습니다. 기아타이거즈는 고질적인 포수난으로 오랫동안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작년 2021시즌엔 김민식,한승택선수가 번갈아가며 안방을 지켰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그러면서 기아는 이번 FA시장에서 최대어 나성범선수와 메이저리그 무대 도전을 마치고 돌아온 팀의 레전드 투수 양현종선수를 복귀시켰습니다. 그런데,,, 아직 많이 부족해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 최근 들려오는 포수 트레이드에.. 2022. 1. 16.
생애 첫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2루수 '정은원' 앞으로 어떤 선수로 성장하게 될까요? _ 정은원 항저우 아시안게임 승선 여부는? 그리고 FA는 언제일까요? 생애 첫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2루수 '정은원' 앞으로 어떤 선수로 성장하게 될까요? _ 정은원 항저우 아시안게임 승선 여부는? 그리고 FA는 언제일까요? 2021시즌 생애 첫 2루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정은원선수 FA는 언제가 될까요? 한화이글스는 정민철단장 아래 대대적인 리빌딩을 펼치고 있습니다. 거액을 주고 데리고 왔던 FA 이용규선수의 방출과 함께 노장 선수들의 방출이 이어졌고, 팀의 레전드 타자 김태균선수까지 은퇴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 맞은 첫 시즌, 2021시즌은 젊은 선수들에게 기회가 돌아갔습니다. 하주석,정은원,노시환,김태연 선수 등이 좋은 활약을 펼쳤고, 앞으로의 한화이글스 전망을 밝게 했습니다. 그 중 드디어! 한화에서 나온 골든글러브 2루수 정은원선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통해.. 2022. 1. 15.
컨택 능력 떨어지는 'DJ 피터스', 넓어지는 KBO 스트라이크 존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_ 롯데자이언츠 2022시즌이 중요하다?! ( KBO의 스트라이크존이 넓어진다. ) 컨택 능력 떨어지는 'DJ 피터스', 넓어지는 KBO 스트라이크 존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_ 롯데자이언츠 2022시즌이 중요하다?! ( KBO의 스트라이크존이 넓어진다. ) 롯데자이언츠는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2년간 팀의 내야를 든든하게 지켜준 마차도선수와 결별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외인 타자로 중견수 'DJ 피터스'선수를 영입하게 됩니다. DJ피터스는 작년 2021시즌 처음 메이저리그 무대에 데뷔하여 타율 0.197, 12홈런 34타점, OPS 0.664를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240타석에 들어서 82개의 삼진을 기록했씁니다. 컨택 능력이 워낙 떨어지는,,, 'DJ피터스'선수는 넓어지는 스트라이크존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영상을 통해 만나보시죠. https://you.. 2022. 1. 13.
박해민을 영입한 LG트윈스, 30대 베테랑 이천웅,이형종 트레이드 카드로 쓸까? _ 179억을 투자한 LG, 2022시즌 우승하나? 외야진은 김현수-박해민-홍창기 확정?! 박해민을 영입한 LG트윈스, 30대 베테랑 이천웅,이형종 트레이드 카드로 쓸까? _ 179억을 투자한 LG, 2022시즌 우승하나? 외야진은 김현수-박해민-홍창기 확정?! LG트윈스는 이번 2022 FA시장에서 중견수 박해민선수와 4년 최대 60억원에 계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LG트윈스 이번 FA시장에서 253억을 쓴 기아타이거즈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돈을 사용했습니다. 내부 FA 김현수선수와 4+2년 총액 115억원, 외부 FA 박해민선수와는 4년 60억원, 그리고 박해민의 보상선수로 백업포수 김재성선술가 전력에서 이탈하자 허도환선수까지 2년 4억원에 계약을 하며 총 179억원을 쓰게 됩니다. 그런데 이번 박해민선수의 영입은 의외였습니다. 기존 LG의 외야진은 김현수 홍창기 채은성선수로 리그에서 가장.. 2022. 1. 12.
반응형